FE

SEB_3_function 본문

SEB_FE

SEB_3_function

zizonemoi 2022. 6. 26. 22:50

함수에 대해 배웠다.

함수 === 작은 기능 단위

 

한번 원의 넓이를 알아보자^^!!

 

선언식함수

정석 그 자체

function 변수이름 (파라미터) {

let 변수이름2 = 식;

return 변수이름2

}

function getCircleArea (radius){
let circleArea = radius * radius * 3.14;
return circleArea
}

표현식함수

익명으로 함수 사용 가능

let 변수이름 = function(파라미터){

let 변수이름2 = 식;

return 변수이름2

}

let getCircleArea = function(radius){
let circleArea = radius * radius * 3.14;
return circleArea
}

화살표함수

function을 붙이지 않아도 됨 표현식 함수 기반  식의 코드가 짧으면 {},return도 같이 없앨 수 있다.

let 변수이름 = (파라미터) => {

let 변수이름2 = 식;

return 변수이름2

}

or

let 변수이름 = (파라미터) => 식;

 

let getCircleArea = (radius) => {
let circleArea = radius * radius * 3.14;
return circleArea
}

or

let getCircleArea = (radius) => radius * radius * 3.14;

> 화살표함수 {},return 없앨 수 있지만 식이 2줄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하는 것이 가독성있고 좋다.

[TIL]

선언식함수, 표현식함수, 화살표함수

> 다 같은 식을 선언,표현,화살표로 변환 가능한 거, 코드를 짧게 써서 가독성이 좋아지느냐 오히려 안좋아지느냐에 따라 선택하면 될 듯 싶다.

매개변수 : parameter

전달인자 : argument

만약 매개변수보다 전달인자가 많다면 넘치는 전달인자는 무시된다.

+ return의 의미에 대해서 더 알아봤는데 단순히 함수값 반환이 아니라 함수 실행을 종료하고, 주어진 값을 함수 호출 지점으로 반환하는

것이라고 MDN에서 나와있었다.

'SEB_F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EB_7_HTML기초  (0) 2022.06.29
SEB_5_문자열(보충하기)  (0) 2022.06.28
SEB_4_조건문  (0) 2022.06.27
SEB_2_type  (0) 2022.06.24
SEB_1  (0) 2022.06.23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