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북클럽
- 리액트 라우터 버전 에러
- HTTP요청
- Manifest 에러
- 에러 마지막줄
- vue chart.js
- 도넛 차트 가운데 글자
- UI/UX 분석
- CND
- 삽질일지
- 콘솔 manifest
- 인쇄 css
- 리액트 라우터 돔 에러
- Firestore_Data_Types
- 노마드코더
- manifest error
- UI
- stackoverflow-clone회고
- Section2회고
- yarnrc.yml
- manifest에러
- chart.js 반응형
- 노개북
- chart.js fillText
- react-router-dom v.6
- section3 회고
- 경우의 수 줄이자
- ux
- WIL
- section1회고
Archives
- Today
- Total
FE
[노개북 - Day 9 ] 23.01.21 본문
✍️ TIL (Today I Learned)
- 정렬 알고리즘
- 스택, 큐
- 해시 테이블
- 클린 코드
📑 오늘 읽은 범위
에피소드 26 ~ 에피소드 29
🔖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
- 정렬 알고리즘
- 데이터를 순서 있게 정리하는 것
- 대표적인 3가지 정렬 알고리즘 : O(N^2)이지만, 1 → 3으로 갈수록 조금 더 빠름
- 버블정렬 : 왼쪽 오른쪽만 비교하며 정렬
- 선택정렬 : 하나를 선택해서 정렬
- 삽입정렬 : 앞에 있는 데이터를 보면서 배치
- 시간 복잡도를 단순하게 측정 했을 때 O(N^2)로 같을 뿐
- 스택, 큐
- 실제로 존재하는 개념이 아니라 규칙성에 가까움 → 추상 자료구조(abstract data type, ADT)
- 스택(stack) : LIFO(Last In First Out)
- 규칙
- 위에서 데이터를 쌓음
- 위에서부터 데이터를 뺌
- 어떤걸로 구현해도 상관 없지만 규칙을 지켜야 스택이라 부를 수 있다.
- ex) 웹 브라우저 뒤로가기 버튼, 되돌리기 단축키
- 규칙
- 큐(queue) : FIFO(First In First Out)
- 규칙
- 위에서 데이터를 쌓음
- 아래에서부터 데이터를 뺀다
- 어떤걸로 구현해도 상관 없지만 규칙을 지켜야 큐라 부를 수 있다.
- ex) 쇼핑몰 주문 처리 시스템, 프린터
- 규칙
- 해시 테이블
- 키와 값을 짝지어 모은 것
- 배열로 검색 시 선형검색 O(N)이지만 해시 테이블을 이용하면 O(1)로 효율적
- 해시 테이블을 배열 형태로 구성, 해시 함수와 세트
-
- 해시 충돌(hash collision) : 다른 데이터가 해시 함수를 거친 뒤 같은 인덱스를 갖게 된다면?
- 대처 방법 중 하나 : 같은 인덱스에 배열을 추가 해서 선형검색 → 해시 테이블의 시간복잡도가 항상 O(1)인 건 아니다.
- 클린 코드
- 의미 있는 변수, 함수의 이름 적절히 사용
- 함수 이름은 가급적 동사
- 매개변수는 너무 많이 사용하지 말 것(최대 약 3개 정도), 너무 많아질 것 같으면 컨피겨레이션 오브젝트 방식으로 매개변수 묶어 전달
- 불린값을 인자로 보내지 말 것 (함수는 한가지 기능에 충실한게 좋음)
- 축약어를 사용하지 말 것
'TIR > IT 5분 잡학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노개북 - Day 7 ] 23.01.19 (0) | 2023.01.19 |
---|---|
[노개북 - Day 6 ] 23.01.18 (1) | 2023.01.19 |
[노개북 - Day 5 ] 23.01.17 (0) | 2023.01.17 |
[노개북 - Day 3 ] 23.01.15 (1) | 2023.01.15 |
[노개북 - Day 2 ] 23.01.14 (0) | 2023.01.14 |
Comments